신용등급 확인 자주 하시나요?
저는 예전에 학자금 대출이자를 밀린 적이 있어서 신용등급이 엄청 낮아졌어요.
6등급까지 떨어져본 거 같아요.
그 뒤로는 신용등급에 엄청 신경쓰며 살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1등급까지도 올렸죠.
주로 카카오뱅크 '내 신용정보'에서 확인해요.
저기를 누르면 내 현재 신용등급을 보여줬죠.
그런데 올해부터는 등급은 없고 점수만 있어요.
알고 보니 1월 1일부터는 점수제로 전환된대요.
전에 1등급이었던 저는 900점 대로 나옵니다.
등급이 떨어지곤 할 때는 '신용등급 올리기' 버튼을 눌렀어요.
그럼 별도의 절차 없이 등급이 오르곤 했어요.
지금은 '신용점수 올리기'로 바뀌었네요.
내 생각보다는 점수가 너무 낮다 싶으면 눌러보세요.
소득수준이나 신용관리가 누락되는 경우가 종종 있거든요.
소득이 없는 주부임에도 높은 점수를 유지할 수 있는건
아무래도 카드를 많이 써서 인 것 같아요..
뿌듯한데 찜찜한 상황이에요.
근데 궁금하네요.
왜 신용점수제로 전환했을까요?
대한민국정책브리핑에 따르면요.
신용등급(1~10등급)에 따라 획일적으로 대출을 거절하던 관행을 개선하기 위해 신용점수제를 도입했다고 합니다.
불현듯 1등급 차이로 대출을 거절당했던 암울한 기억이 떠오르네요.
이미 집 계약까지 마친 상태라 무척 좌절했었죠.
금융위원회에서도
신용점수가 신용등급 구간내 상위에 있는 경우(예: 7등급 상위)는 상위등급(예: 6등급 하위)과 신용도가 유사함에도 대출심사시 불이익을 받는 상황을 예시로 들었어요.
그간 몰랐지만 2019년 초부터는 5개 시중은행인 국민, 신한, 우리, 하나, 농협에서 신용점수제를 시범적으로 적용했었대요. 그러다가 2021년 1월부터 전 금융업권에서 점수제를 시행하게 되었다고 해요.
제도 개선으로 대출을 받을 수 있는 사람들이 많이 늘어날 것 같네요.
신용점수제로 바뀐 후 무엇이 달라질까요?
카드발급이나 서민금융상품 지원 대상 등과 관련된 법령상 신용등급 기준도 개인신용평점 기준으로 변경되요.
아래 표를 참조해 보세요.
표를 보면 NICE 점수가 따로 있고, KCB 점수가 따로 있어요.
전처럼 단순해 보이지가 않네요.
NICE와 KCB는 CB사예요. 금융회사, 공공기관, 기업 등으로부터 신용정보를 수집해서 평가하고, 개인 신용상황을 판단할 수 있는 정보를 금융회사 등에게 제공, 판매하는 회사라고 합니다. 이 두 회사가 신용 점수를 내는데 점수 구분이 서로 좀 다르네요.
신용카드나 대출, 지원대상 등은 매년 4월 1일에 전년도 전 국민의 신용점수 분포를 통해 산정한다고 합니다.
개인신용평점 하위 몇프로 상위 몇프로를 따지는 것이니 해마다 점수는 조금씩 달라질 수 있겠어요.
'경제·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0 연말정산 어떻게 할까요? (0) | 2021.01.19 |
---|---|
삼쩜삼으로 국세환급금 찾기 (2) | 2021.01.15 |
부자되기 시작: 우리집 재무제표 쓰기 (0) | 2021.01.01 |
국민연금 추납제도 활용하기 (0) | 2020.12.31 |
많은 유튜버들이 추천한 「타이탄의 도구들」 (0) | 2020.12.30 |